
장마철에 특히 주의해야 할 질병들
장마철에 환경의 특성상 더 쉽게 걸릴 수 있는 질병과 바이러스등이 있습니다. 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예방할 수 있는 방법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계절성 우울장애
장마철에 생기는 우울증 장마철에 특히 생기는 계절성 우울장애는 보통 여름과 가을에 비가 많이 지속적으로 내리면 유발될 수 있는 우울증입니다.
- 계절성 우울장애는 빛의 영향과 호르몬 변화의 원인이 있는 것으로 여겨집니다.
- 장마철은 자외선 노출이 많이 없고 수면호르몬인 멜라토닌이 증가하여 일시적으로 기분이 가라앉거나 잠이 오는 증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이로 인해 피로감이 있고 활력이 상실될 뿐 아니라 불안감과 불면증에도 시달릴 수 있습니다.
장마철 우울증 예방법
햇빛이 날 때 외출을 하여 햇빛을 보충하는 것이 가장 좋은 예방법이고 스트레칭이나 가벼운 운동 등으로 신체활동을 해주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집안에 조명을 밝게 조절하여 분위기를 바꿔주는 것도 좋습니다.
장마철에 번식이 가장 쉬운 무좀균
습한 날씨에 가장 취약한 무좀바이러스는 특히 장마철에 통풍이 되지 않는 신발내부에서 잘 나타나게 됩니다.
- 발에 무좀과 습진이 생기면 보통 심하게 가렵고 각질이 벗겨지거나 심하면 수포가 생기기도 합니다.
- 습하고 따뜻한 환경에서 바이러스 균이 번식되고 이를 제대로 관리하지 않는다면 피부가 염증을 일으키는 합병증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 무좀은 다른 사람에게 감염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주의해야 합니다.
무좀 예방법
무좀의 가장 큰 원인인 습기를 피하고 피부를 건조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피부를 통풍시켜 주는 것도 큰 도움이 되며 필요에 따라 항진균 크림을 사용하여 무좀 감염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장마철에 잘 걸릴 수 있는 식중독
습한 날씨에는 포도상구균과 장염비브리오균 그리고 살모넬라균 같은 식중독을 유발하는 바이러스가 번식하기 좋은 환경을 갖고 있습니다.
- 이 균들은 장내에 침투하면 식중독과 장티푸스등을 일으키게 됩니다.
- 주로 상한 음식을 먹거나 날 채소나 날 생선등으로부터 발생하는 세균이나 바이러스등으로 감염이 됩니다.
- 식중독의 가장 흔한 증상은 설사이고 구토나 복통 심하면 발열증상도 보일 수 있습니다.
식중독 예방법
위의 글과 같이 장마철에는 날음식의 섭취를 피하고 충분히 조리된 음식을 먹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여름철에는 특히 음식이 빨리 상하기 때문에 식품을 안전하게 보관하고, 조금이라도 상한 것 같은 음식은 섭취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음식을 먹거나 만들기 전에 청결을 유지하는 것도 식중독을 피할 수 있는 좋은 예방법입니다.
장마철 대표 바이러스인 눈병
장마철에는 더운 공기 중에서 쉽게 증식하는 급성출혈성결막염과 유행성결막염 등이 발병하기 쉽습니다.
- 눈곱이 자주 끼고 간지러우면서 눈이 빨개진다면 눈병을 의심해 봐야 합니다.
- 눈꺼풀이 부을 수 있으며 눈의 점액 분비로 끈적거리는 느낌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눈병 바이러스 예방법
가장 중요한 점은 세균이 묻은 손으로 눈을 만지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눈에 이물질이 들어가면 물로 재빨리 씻어내야 하고 눈에 자극을 많이 주는 행동을 하지 않아야 합니다. 눈병증상이 시작되면 가능한 한 빨리 안과를 방문하여 전문가의 진료와 치료를 받는 것이 상태를 악화시키지 않는 방법입니다.
장마철 질병에 대한 결론
이처럼 장마철에 습한 온도와 기온 등으로 인해 여러 가지 질병들이 발병될 수 있습니다. 항상 청결을 유지하고 쾌적한 환경을 유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증상이 있다 해도 재빠르게 대처하거나 적절한 치료를 받는다면 좀 더 안전한 장마철을 보낼 수 있을 것입니다.
'웰니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헐적단식 방법과 단식의 좋은점, 주의할점 (0) | 2023.08.12 |
---|---|
담석이란 무엇이고 왜 생기는지, 담석의 증상과 치료방법 (0) | 2023.07.31 |
만성비염의 원인과 증상, 예방법과 치료방법등에 대하여 (0) | 2023.07.29 |
콘드로이친이란? 콘드로이친의 효능과 부작용, 콘드로이친이 많이 함유된 음식들에 대하여 (1) | 2023.07.26 |
쏘팔메토 효능이 없을까? 부작용과 효과및 안정성에 대한 연구결과 (0) | 2023.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