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이란?
면역은 우리의 몸이 외부의 바이러스나 세균등으로 부터 방어하는 체계를 말합니다. 현대사회는 개인의 건강과 장수에 대해 관심이 날로 높아지고, 인간평균수명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하지만 예전에 심각하지 않았던 새로운 바이러스나 세균이 문제를 일으켜 면역에 대한 관심이 나날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면역의 요소
면역은 여러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면역시스템에는 다양한 종류에 세포들로 구성되어있는데, 이 세포들은 외부의 바이러스나 세균들을 탐지하고 파괴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또 항체는 B세포에 의해 생성되며, 바이러스와 결합하면 면역반응을 유발합니다. 염증은 면역세포들이 바이러스와의 싸움을 돕기위해 혈관을 확장시키고 안좋은 염증을 방출하는 과정입니다. 면역 시스템은 자신의 세포와 조직을 인식하고 이들을 공격하지 않도록 내성을 만듭니다. 기억세포는 이전에 겪은 감염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였다가 같은 바이러스에 노출되면 더 빠르고 효과적인 면역 반응을 유발합니다.
면역반응
인체방어 - 호흡기, 소화기, 비뇨기 표면의 피부와 점액성 점막은 바이러스에 대한 물리적 장벽입니다. 정상적인 장이나 질에사는 미생물들도 세균이 들어오는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염증 - 염증반응은 미생물의 침입을 제한하고 감염의 확산을 억제하기위해 보이는 반응입니다. 염증반응에는 피부가 붉게 변하는 국소적 발적과 부종, 통증, 발열 그리고 기능장애등이 있습니다.
인터페론 - 감염세포에서 생성되는 단백질로 신체 조직세포에서 바이러스가 증식하지 못하도록 신체를 보호하는 최초의 방어 작용을 말합니다.
면역의 분류
자연 면역 - 대부분 유전적으로 결정되며 같은 개체에 속하더라 영양상태, 호르몬의 상태, 정신심리상태와 면역억제제 노출여부에 따라 저항력의 차이가 있습니다.
획득 면역 - 어떤 질병이 걸린후 예방접종에 의해 후천적으로 습득되는 면역체계를 말합니다. 후천면역은 능동면역와 수동면역으로 나뉘고 수동면역은 효력이 빨리 나타나지만 지속성이 짧고 관민성 반응이 발생할수도 있습니다.
능동 면역 - 면역시스템이 외부의 바이러스나 세포에 직접적으로 반응하는 면역형태입니다.
수동 면역 - 다른 숙주에 의해 형성된 면역체를 받아서 면역력을 지니게 되는 면역상태입니다.
면역반응의 조절
면역반응의 조절이란 면역시스템이 적절히 작동하고 바이러스에 대해 적절한 대응을 할수 있도록 조절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면역시스템은 과도한 반응을 일으키면 자체 조직에대한 공격이나 면역질환 발생을 유발할수도 있습니다. 반대로 면역반응이 충분히 일어나지 않으면 감염과 질병에 취약해 질수 있습니다.
자가면역 질환
자가면역 질환은 면역 시스템이 정상적인 조절기능을 잃고 자신의 조직과 세포를 공격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면역 시스템은 외부의 바이러스와 이상 세포를 식별하고 공격하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자가면역 질환에서는 면역시스템이 자신의 조직과 세포를 이상하다고 오해하고 공격하는 경우입니다. 흔히 알려진 자가면역 질환에는 루푸스, 류마티스 관절염, 자반염 그리고 갑상선 질환등이 있습니다.
면역반응과 백신
인체에 어떤 바이러스가 항원으로 침입하면 약 일주일 후에 혈액에 항체가 출연하여 면역계가 활성화 됩니다. 항체의 양은 계속 증가하여 절정에 다다른후 감소합니다.1차 면역반응은 초기에 발생하며, 항체 생산과 면역 세포의 활성화를 포함합니다. 이 과정은 면역 시스템이 항원에 대한 반응을 개발하고 초기의 면역 보호를 제공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1차 면역반응은 초기적이고 한계가 있을 수 있으며, 다음에 이어지는 2차 면역반응이 더 강력하고 효과적인 면역 응답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백신의 접종으로 감염증을 예방할수 있는 것은 1차 면역반응을 일으켜 바이러스가 침입했을때 2차 면역반응을 일어나게 하기 때문입니다. 백신에는 바이러스를 약화시킨 미생물을 함유하고 있는 약동성 백신과 불활성화한 미생물을 함유하고 있는 불활성 백신이 있습니다.
'웰니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한 식단과 영양 (2) | 2023.06.22 |
---|---|
다이어트와 체중 관리 (0) | 2023.06.22 |
올바른 자세와 척추건강 (0) | 2023.06.21 |
건강검진 통해 질병의 조기발견 (0) | 2023.06.21 |
예방접종은 질병을 예방하고 퍼지는 것을 방지 (0) | 2023.06.21 |